신성의 숲, 선교총림 선림원

신성(神性)은 하느님 환인(桓因)께서 내리신 빛의 씨앗 입니다. 내 안에 빛나고 있는 신성을 회복하고 홍익인간 재시이화를 실현합니다. _ 신성회복의 종교 선교(仙敎)

명상의 숲 힐링포레스트/24절기 선도수행 18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추분(秋分)”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추분(秋分) “추분”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 서늘한 바람이 불고 오곡백과 풍성한 본격적인 가을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여섯번째 절기 “추분”에 대해 알아봅니다. 추분(秋分)은 한자로 가을 추(秋)와 나눌 분(分) “秋分” 이라고 합니다. “秋分”은 태양의 황경이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점(秋分點)”에 이르른 절기로, 춘분점(春分點)과 대치되는 절기입니다. 추분 절기에는 오곡백과가 풍성하게 여물고 하늘이 드높아지며 서늘한 가을바람이 부는 본격적인 가을에 접어듭니다. 선교(仙敎)에서는 선림원절기학교 가을학기를 진행하여, 취정원..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백로(白露)”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백로(白露) “백로” 밤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 풀잎에 흰 이슬이 맺히는 가을 절기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다섯번째 절기 “백로”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로(白露)는 한자로 흰 백(白)와 이슬 로(露) “白露”라고 합니다. “白露”는 “흰 이슬”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로 절기가 되면 밤 기온이 이슬점(공기 속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이슬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서 풀이나 물체에 하얀 이슬이 맺히게되는 것에서 백로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백로절기에는 날씨가 선선해지며 백로 말후에는 완연한 가을 분위기가 납니다..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처서(處暑)”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처서(處暑) “처서” 더위는 멈추고 선선한 가을바람에 산천은 가을빛을 띄기 시작하는 초가을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네번째 절기 “처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처서(處暑)는 한자로 곳 처(處)와 더위 서(暑) “處暑”라고 합니다. “處”는 ‘하던 것을 그만두다’ 또는 ‘그만두고 쉬다’라는 휴지(休止)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처서는 ‘더위가 멈추었다’ · ‘더이상 더위가 기승을 부리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처서 절기가 되면 입추가 지나도록 계속되던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일교차가 점차 커지면서 선선한 가을기운이 시작되어..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입추(立秋)”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입추(立秋) “입추” 가을의 시작 아직은 무더위가 남아있는 말복(末伏)의 시기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세번째 절기 “입추”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추(立秋)는 한자로 설 립(立)와 가을 추(秋) “立秋”라고 합니다. 입추(立秋) 절기는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들어서는 시기로, 칠월칠석(七月七夕, 음력 7월 7일)을 전후하여 드는데, 아직은 삼복더위의 마지막인 말복(末伏)의 무더위가 남아있어 한여름 날씨가 계속됩니다. 조석(朝夕)으로 서늘한 기운이 감돈다고는 하나 지구온도가 상승하여 도시에서는 입추의 기운을 느끼기 어렵고, 깊고 청량한 ..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대서(大暑)”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대서(大暑) “대서” 염소 뿔도 녹는다는 불볕더위 중복(中伏)의 절기 한여름 열대야 폭염주의보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두번째 절기 “대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서(大暑)는 한자로 큰 대(大)와 더위 서(暑) “大暑”라고 합니다. 대서(大暑) 절기에는 중복(中伏)이 드는데, 복날은 초복 · 중복 · 말복의 삼복(三伏)을 이릅니다. 복(伏)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 입니다. 오행(五行)에서 여름(夏)은 ‘불(火)’에 속하고, 가을은 ‘쇠(金)’에 속하는데,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3번 굴..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소서(小暑)”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소서(小暑) “소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초복(初伏)의 절기. 장마전선이 오랫동안 머무르는 습도 높은 한여름 폭염.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한번째 절기 “소서”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서(小暑)는 한자로 작을 소(小)와 더위 서(暑) “小暑”라고 합니다. 소서(小暑) 절기에는 초복(初伏)이 드는데, 초복은 처음 초(初) 엎드릴 복(伏)이라 하여 음(陰)의 기운이 양기(陽氣)에 눌려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폭염의 시작을 알립니다. 소서는 양력으로 7월 7일 8일경에 들며, 장마비에 잡초가 무성해져 폭염속에 논밭의 풀매기 작업이 힘든 시기입니..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하지(夏至)” _ 선교총림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하지(夏至) “하지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날. 하지감자를 캐고 마늘 수확을 마무리하는 등 장마 대비에 바쁜 한여름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 “하지”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하지(夏至)는 한자로 여름 하(夏)와 이를 지(至) “하지(夏至)”라고 합니다. 하지(夏至)에는 정오(正午)의 태양이 가장 높이 뜨며, 북반구를 기준으로 볼때 낮이 가장 긴 날입니다. 하지 즈음에는 장마가 시작되기 전 포실하게 여문 “하지감자”를 캡니다. 농작물의 성장이 가장 활발할 때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논밭에 풀이 무성하여지므로 밭매기..

[선도 수행] 24절기 선도수행 “망종(芒種)” _ 선림원 절기학교 절기수행

24절기 망종(芒種) 보리베고 벼심고, 까끄라기 · 가시랭이(芒) 씨앗(種) 을 거두고 뿌리는 여름농사 _ 선림원 절기학교 ※ 선교 교단의 고유의례와 법회 및 교리 내용을 무단도용하는 선불교 등 유사선교단체는 민형사상의 법적처벌을 받게됩니다. 선림원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아홉번째 절기 “망종” 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망종(芒種)은 한자로 까끄라기 · 가시랭이 망(芒)과 씨 종(種) “망종(芒種)”이라고 합니다. 망종은 양력 6월 5일 경에 들며, 망종 즈음에는 한낮의 기온이 높이 올라가 한여름인듯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농가에서는 씨앗 끝에 까끌한 수염이 달린 곡식종자를 거두고 뿌리는 일을 하는데, 가을에 파종했던 “보리”는 베고 “벼”의 씨앗인 볍씨를 담구어 싹을 내어 모내기를 마무리합니다. 또한..